등록 : 2018.09.11 14:10
수정 : 2018.09.11 14:13
잇단 내부 폭로에 백악관 보안 조처 강화
상황실 등 보안구역 사물함에도 업무 휴대폰 보관 불가
개인 휴대폰은 대통령동에선 일절 불가
잇단 내부 폭로에 시달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이 직원들의 업무 휴대폰조차 보안 구역 근처에도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강경한 보안 조처를 취했다.
백악관은 최근 직원들이 상황실에 들어올 때에는 입구의 사물함에도 정부가 발급한 공용 전화조차 보관하지 못하도록 보안 조처를 강화했다고 <시엔엔>(CNN)이 10일 보도했다. 백악관 직원들은 상황실에 올 때는 백악관이 발급한 휴대전화도 자신의 사무실에 두고 와야 하며,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건물동인 웨스트윙을 통과할 때는 보안 검색이 이뤄지기 전 단계에서 개인 휴대전화를 맡기는 사물함에 둬야 한다는 것이다.
보안 조처 강화는 흑인 여성으로서는 백악관 최고위 관리를 지낸 오마로사 매니골트 뉴먼 전 백악관 대외협력국장이 지난 8월 트럼프 대통령의 인종주의적 언행과 백악관의 난맥상을 폭로한 뒤 이뤄진 것이라고 이 방송은 전했다. 뉴먼은 저서 발간을 전후해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이 자신을 해임할 때 한 대화 내용을 은밀히 녹음했다고 밝혔었다. 그는 10일 <에이비시>(abc) 방송에서 자신이 녹음한, 트럼프 대통령과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 등이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의 선거운동과 연계시킬지 논의하는 내용을 폭로했다.
최근 워터게이트 사건을 보도한 밥 우드워드의 신간 <공포: 트럼프의 백악관>과 <뉴욕 타임스>에 게재된 익명 고위 관리의 기고도 트럼프 대통령의 부적절한 언행과 백악관의 난맥상을 폭로해,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기고가 반역 행위라며 법무부가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기밀 접근 허가를 받은 모든 정부 관리들은 거짓말탐지기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는 랜드 폴 상원의원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