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12.14 17:41
수정 : 2016.12.14 22:56
“강한 달러 탓 기업경쟁력 저하”
인프라 등 대대적 경기부양 공약
당선 뒤 달러가치 지속 상승세
연준 기준금리 인상도 가속요인
인플레 유발·보호무역 강화 우려
제조업 경쟁력 되레 깎을 가능성
‘트럼프노믹스’가 달러 강세 현상을 부채질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주장해온 미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오히려 저해하는 역설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어 당분간 달러 강세는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13일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 동안 달러 강세가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며 “하지만 불행하게도 트럼프가 추진하는 경기부양책은 달러 강세 현상의 촉매가 되고 있다”고 짚었다. 또 미 연준은 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제로에서 0.25%로 올린 뒤, 1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또 이는 향후 금리인상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문가 설문조사를 해보니 연준이 2018년까지 금리를 2%까지 올린다는 예측이 나왔다고 전했다.
트럼프는 지난달 8일 당선 뒤 인프라 보완을 중심으로 한 사회간접자본 확충에만 5500억달러(약 643조원)라는 천문학적 비용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런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금리를 끌어올릴 수 있으며, 결국 달러 강세 현상을 부를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는 선거운동 기간 동안 미국 제조업 일자리 지키기를 강조해왔는데, 당선 이후 지속된 달러 강세 현상이 오히려 미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미 재무부 관리 출신으로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인 데이비드 달러는 <파이낸셜 타임스>에 트럼프 경제 정책을 “천천히 부서지는 기차”에 비유했다.
미 연준이 집계하는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는 지난 7일 126.95로 트럼프 당선 다음날인 지난달 9일 123.31보다 지수가 약 3.6 상승했다.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는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무역이 활발한 26개국 통화와 달러를 비교해 산출하는 지수로, 달러 가치 상승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미 피터슨연구소의 윌리엄 클라인 선임연구원은 지난달 중순 기준으로 달러 가치는 11% 과다평가됐다며, 경기부양책과 금리인상으로 앞으로도 달러 강세 위험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달 9일 달러당 1149.5원에서 13일 1167원으로 1.52%(원화 가치 하락) 올랐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각국 관리들이 트럼프가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다가 달러 강세 함정에 빠지면, 이 문제를 중국이나 유럽연합(EU) 같은 무역 상대국 탓으로 돌리며 보호주의적 태도를 강화할까 염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인수위원회가 작성한 취임 뒤 ‘100일 계획’에는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을 검토한다는 안건이 들어 있다. 미 외교협회 선임연구원 로버트 칸은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 “고통스러운 무역전쟁의 첫 총성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흥국들은 달러 강세 현상으로 자금 이탈 우려에 시달리고 있다. 달러 강세는 신흥국에서의 투자자본 회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12일 “달러 강세의 가장 큰 희생자들은 외부적 충격에 취약한 신흥국들”이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13일 투자자들이 지난달 신흥국에서 242억달러를 회수했다고 보도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