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20.01.14 11:34 수정 : 2020.01.14 11:44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질문할 기자를 지목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새해 기자회견
“북-미 대화 성공 가능성에 더 많은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질문할 기자를 지목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아직은 북-미 대화의 성공 가능성에 더 많은 기대를 걸고 싶다”며 “남북 협력관계를 넓혀가면서 북-미 대화를 촉진하고, 제재완화를 위한 국제적 지지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미국 <시엔엔>(CNN) 기자가 ‘미국이 앞으로 북한의 핵을 포기하도록 어떻게 설득할 수 있느냐’고 묻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생일 축하 메시지를 보낸 것에 높은 평가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여전히 가장 중요한 외교대상으로 여기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냈다는 의미”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북한이 연말이라는 (대화) 시한을 설정한 바 있으나 북한은 시한을 넘어서도 여전히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며 “북한이 종전 주장과 달라진 게 없다. 대화하고 싶다는 뜻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북-미간 많은 시간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화가 교착상태에 있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이 시점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 남북관계를 최대한 발전시켜 나간다면 북-미 대화에도 선순환적인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아직은 북-미 대화의 성공 가능성에 저는 더 많은 기대를 걸고 싶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북-미 대화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남북관계에서 최대한 협력 관계를 넓혀가면 북-미 대화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북한에 대한 제재의 일부 면제나 예외 조치 인정과 관련한 국제적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북한이 어떤 조처를 할 때 어떤 정도의 대북제재를 완화할 수 있을지, 또는 대북제재의 완화 조건으로 북한이 어디까지 비핵화 조치를 실제로 취할 지라는 상응 조치를 어떻게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낼지가 북-미 대화의 과제”라면서 “교착상태를 돌파하기 위해 미국도 한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새 아이디어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