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15 19:19 수정 : 2006.03.15 19:25

뜻 맞고 역량까지 갖춘 인물 찾기 ‘난제’

노무현 대통령이 ‘이해찬 총리 이후’를 구상하느라 고심하고 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후임 총리 인선 시기에 대해 “지금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며, 그 이유로 “기존 국정운영의 방식과 철학을 계속해 나가면서 중요 국정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노 대통령이 여러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단순히 ‘사람’뿐 아니라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분권형 국정운영=노 대통령의 이런 고민에는 분권형 책임총리제를 유지할지 여부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권력 분산에 대한 노 대통령의 생각은 대통령 후보 때까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고건 총리 때는 일상적 국정과제라 할지라도 중요한 것은 노 대통령이 직접 챙겼다.

분권형 국정운영은 이 총리를 만남으로써 비로소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이 총리는 지난 21개월동안 ‘실세 총리’라는 신조어를 낳으면서 분권형 국정운영을 뿌리내리게 했다. 이제 이 총리가 빠지며 이 방식은 근본적인 상황 변화를 맞았다.

하지만, 청와대 참모들은 분권형이 유지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한 참모는 “분권형은 이제 정착단계에 들어선데다 총리실이 실무적 역량을 지니고 있어, 사람이 바뀌더라도 속력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탄력과 관성이 붙었다”며 “최근 철도공사 노사갈등도 과거 같으면 청와대 노동담당 비서관이 중심이 돼 챙겼겠지만 이번에는 총리실이 주관이 돼 각 부처를 총괄했다”고 말했다.

그래도 모든 제도는 이를 운용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그 힘의 강도가 달라지게 마련이다. 후임 총리의 역량에 따라 대통령과 어느 정도의 권력 재분배는 불가피해 보인다.

일하는 총리=후임 총리를 놓고는 여러 유형들이 입방아에 오르고 있지만, 노 대통령에게 유일한 기준은 ‘일하는 총리’라는 게 청와대 참모들의 얘기다.

한 참모는 “취임 3돌을 맞으면서 내부 논의과정에서 대통령 지지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통령은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일을 하기로 작정했다”며 “노 대통령에게 관심사항은 지방선거가 아니라 일을 할 수 있는 총리”라고 말했다.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지난 14일 노 대통령을 만나 총리감으로 특정인을 거론했으나, 노 대통령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 참모는 전했다. “내가 믿고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쓰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가 확고한 것이다.

문제는 이런 후보가 대통령의 뜻을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회에서 개혁 관련 법률을 통과시킬 수 있는 정치적 역량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데 노 대통령의 고민이 있다고 한다.

이런 사정을 감안할 때 노 대통령의 사람 고르기는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당 한쪽에서는 후임 총리 인선을 5·31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후임 총리 인선을 놓고 정치적 공방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선거 이후 지명을 한다면 3달 이상 국정공백이 생겨 오히려 더 부담이 된다”고 그 가능성을 낮게 봤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