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28 18:58 수정 : 2005.11.01 17:39

“당을 부속물로 생각말라” “대통령이 신이냐”…청화대는 침묵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장(오른쪽에서 세번째)과 정세균 원내대표(오른쪽에서 네번째)가 28일 국회에서 연 중앙위원·의원 연석회의에서 당 지도부 총사퇴를 발표한 뒤 상임중앙위원들과 함께 ‘당원과 국민에게 사과한다’는 의미로 머리 숙여 인사를 하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당을 부속물로 생각말라” 청와대 겨냥 직격탄


열린우리당이 청와대에 대해 ‘쌓였던’ 불만을 터뜨렸다. 여당 의원 입에서 “대통령은 정치에 관여하지 말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28일 소집된 열린우리당 중앙위원·의원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은 청와대의 국정 운영에 대한 불만과 인적 쇄신 요구를 거침없이 쏟아냈다. ‘내각 총사퇴’, ‘코드 인사 철폐’ 등 야당 의원들이 내놓을 법한 요구까지 나왔다. 이에 따라 10·26 재선거 참패에 대한 당 차원의 수습 문제를 넘어, 여당과 청와대가 대립하는 국면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청와대에 ‘직격탄’ = 정장선 의원은 이날 연석회의에서 “개헌이나 선거구제 개편, 연정 등은 대통령이 아니라 당이 결정할 문제”라며 “노무현 대통령은 정치 문제에 관여하지 말고, 민생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학진 의원은 전날 노 대통령이 지도부 유임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발언을 한 데 대해, “대통령은 오류가 없는 사람이냐. 대통령이 신이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영근 의원도 “대통령이 주말에 당 지도부를 불러 뭔가 결정하려는 것은 대단히 오만한 일”이라며 “청와대가 당을 부속물로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김동철 의원은 “대통령이 대연정을 일방적으로 제기하는 것이 문제다. 8·15 경축사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제기하는 법이 어디에 있나. 청와대 만찬도 일방적이었다”고 토로했다.

특히 우원식·유승희·이인영 의원 등 재야파 소속 의원들은 청와대 인적 쇄신을 강하게 주장했다. 일부 의원들은 재선거 패배에 대한 ‘청와대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유승희 의원은 “청와대는 대통령과 ‘코드’를 맞추는 사람들로 채우지 말라”고 말했다. 우원식 의원은 “청와대에서 국민들의 목소리를 가로막는 사람부터 쇄신하라”고 말했다.

왜 그러나? = 열린우리당에선 당의 위기가 노 대통령의 국정 운영의 문제점에서 비롯됐다는 인식이 강하다.

지난 4·30 재·보궐 선거 이후 당이 양극화 해소 등 민생 정치를 다짐했지만, 모든 게 대연정 ‘해일’에 묻혔고, 지지율은 더욱 곤두박질쳤다는 것이다. 한 재선 의원은 “지난 7월 당이 민생 현장 프로그램을 시작하던 날, 노 대통령이 대연정을 제안했다”며 “그런 식의 국정 운영 때문에 당이 일을 해도 빛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연석회의에선 일부 국무위원과 청와대 홍보라인 등의 ‘태도’를 지적하는 발언이 여러 차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그동안 당의 몫과 역할이 제대로 주어지지 않은데다, 일부 인사들의 독선적인 태도 때문에 ‘당이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욕만 먹는 집단이 됐다’는 불만이 쌓여 있었다”고 말했다.

최성 의원은 “이제 청와대의 국정 운영에 대해 당이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문희상 의장을 ‘비서실장’이라고 비판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호웅 의원은 “당정 분리를 선언했지만, 그동안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슈는 항상 노 대통령이 방향을 제시하지 않았느냐”며 “시행착오를 인정하고, 당이 강하고 자생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재야파 핵심 관계자는 “어제 대통령이 내 책임이라고 말하는 순간, 대통령이 아직 욕심을 부리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의원들의 강한 발언은) 당에도 한번 기회를 달라는 얘기”라고 말했다.

우원식 의원은 “당·청 관계에 대한 문제 제기는 그동안에도 있었지만, 이를 풀어낼 계기가 없었다”며 “이젠 당을 중심으로 실천하는 일만 남았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