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관련 주요일지[큰 이미지보기]
|
4차 6자회담 핵을 넘어서 (상)
26일 베이징에서 시작되는 제4차 북핵 6자 회담은 이전의 세 차례 회담과 달리 ‘합의가 있는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중대 제안’을 내놓은 한국의 주도적 역할이 두드러진다. 회담의 관건은 한반도의 탈냉전이라는 방향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4차 6자 회담을 목표, 쟁점, 전망으로 나눠 점검한다. ‘적대정책 철회’ 대 ‘핵폐기’ …‘말 대 말’ 합의 첫걸음
정부, 북-미 간극 메우고 반목청산 역사적 기회로
6자회담 경과
|
지난해 6월 3차 6자 회담에서 참가국들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초기 조처’의 조기 이행 필요성에 합의했다. 이른바 ‘말 대 말’ ‘행동 대 행동’의 단계별 과정에서 상호조율된 조처로 문제를 풀어가자는 것이었다. 이런 구도로 보면 한반도 비핵화는 출구이고, ‘말 대 말’은 입구이며, ‘행동 대 행동’은 둘을 잇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회담의 성패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출구를 정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고,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 여부는 ‘말 대 말’이라는 입구에 합의할 수 있느냐에 걸려 있다. 북한은 지금까지 핵폐기 선언 대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 철회를 ‘말 대 말’로 주장해왔다. 그러나 미국은 대북 적대정책이란 말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고, 북한이 핵을 폐기하면 다자 안전보장을 약속하겠다는 선에서 팔짱을 꼈다. 주도적 역할을 자임한 정부로선 이런 간극을 메우는 구상을 가다듬을 수밖에 없다. 미국은 최근 북한을 주권국가로 인정하고, 침공하지 않으며, 체제 전환을 시도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북한이 핵을 폐기하면 ‘더욱 정상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이를 ‘말 대 말’로 담는 문제를 놓고 구체적인 협의가 예상된다. 한반도 비핵화는 탈냉전 이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반도에 남은 냉전구조의 해체로 가는 입구이기도 하다. 한반도 비핵화가 북미 및 북일 관계 정상화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에 드리운 대결과 반목의 그림자를 청산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6자 회담은 한반도 운명을 좌우할 결정적인 계기”라며 “회담 참가국들이 모두 이런 역사적 기회를 잡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6자회담 결과 1차-비핵화 공동인식
2차-의지담아 의장성명
3차-추가조처 필용성 명시 한반도 비핵화는 지난 2003년 8월 1차 6자 회담 때부터 참가국들의 암묵적인 합의사항이었다. 명시적으로 못박진 않았지만, 한반도 비핵화가 6자 회담의 의제이고 목표라는 데 별다른 이견은 없었다. 다만, 이를 의제로 정하는 것 자체가 또 다른 협상이 되는 것을 우려해 ‘생략’했을 뿐이라는 게 정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한반도 비핵화는 1차 회담에선 ‘참가국들의 주장’이란 말로 표현된다. 중국은 폐막에 앞서 낸 의장요약문에서 “이번 회담에서 6개항의 공동 인식에 이르렀다”며 “참가국들은 모두 한반도 비핵화를 주장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런 공동 인식을 “이번 회담의 중요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2월 2차 회담에선 ‘참가국들의 의지’라는 말로 무게를 더한다. 중국의 발표문 형식도 의장요약문에서 의장성명으로 한 단계 올라섰다. 당시 의장성명은 “한반도 비핵화 및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에 대해 참가국들이 의지를 표명했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당시 한반도 비핵화는 ‘핵무기 없는 한반도’라는 의미였다”며 “이를 위해 참가국들이 상호 조율된 조처를 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4개월 뒤 열린 3차 회담에선 이런 의지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초기 조처’ 필요성을 명시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역시 의장성명으로 나온 당시 발표문을 보면 “참가국들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초기 단계 조처들의 조속한 이행 필요성을 강조했다”라고 돼있다. 정부 당국자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첫단계 조처를 먼저 취하자는 데까지 논의가 진전됐던 것”이라며 “4차 회담의 출발점도 여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