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17일 정동영장관의 평양 특사방문시 동행했던 임동원씨와 김정일 국방위원장 상봉석상에 배석한 연형묵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김정일위원장 오른쪽) 연합
|
직접 나서서 공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공식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홍보관리관이라는 직책이 대변인의 성격을 띤 만큼 비공식으로 보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이 같은 입장이 나오게 된 것은 오래 된 일이기는 하지만 연 부위원장이 1990년대 초반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한 것을 높이 평가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양 홍보관리관이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당시 남북고위급회담의 북측 수석대표로서 남북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연형묵 전 정무원(현재 내각) 총리의 사망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실제 연 부위원장은 정무원 총리로 일하면서 남측의 정원식 국무총리와 함께 1992년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의 채택을 이끌어 냈다. 이런 움직임에 비춰 정부가 조전을 보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지금까지 북측 인사의 사망과 관련, 조문단은 물론 공식적인 조전 발송 사례도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일부에서 조문 문제를 제기, 논란이 벌어졌지만 실제 이뤄지지는 못했다. 또 2003년 10월 김용순 노동당 대남당당 비서가 사망했을 때도 남북관계에 미친 김 비서의 영향을 감안해 일부에서 조문 검토설이 흘러나오기도 했지만 결국에는 정부의 공식적인 조전 발송도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정부는 공식 입장 대신 정세현 당시 통일부 장관이 한 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인간적으로 조의를 표한다"고 입장을 밝힌 게 전부였다. 특히 연 부위원장은 김 비서보다 대남업무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일시적이고 적었다는 측면을 감안할 때 정부가 간접적인 의사 표시에서 한 발짝 나아가 조전을 보낼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는 게 정부 안팎의 관측이다. 정준영 기자 prince@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