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풍작에 신뢰까지 수확한 ‘윈윈’ 사례죠”
“남·북한이 성과를 공유해야 신뢰도 쌓이죠.” 지난 3일 인천항을 통해 북한에서 생산된 ‘경기-평양미’ 1t을 받은 김동근(44·?5c사진) 경기도 정책기획관은 경기도에서는 알아주는 ‘북한통’이다. 지난해 4월 경기도가 북한 민족화해협의회와 벼농사 시범농장을 조성키로 협약을 맺은 뒤 이번에 양쪽이 공동생산한 쌀을 받아들기까지 그는 6차례 이상 분주하게 북한을 오갔다. 그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그는 ‘북한 사람 다 됐다’는 농담도 심심찮게 듣는다. 북한에서는 쌀이 부족하다 보니 쌀은 대외 반출금지된 전략물품으로 분류된다. 그러니 “북한 쪽에 남쪽 실향민들을 위해 수확한 쌀을 좀 보내달라고 해도 요지부동일 때는 가슴만 쓸어내렸다”고 그는 어려웠던 순간을 털어놨다. 그러던 북한이 1984년 서울 대홍수 이후 21년만에 북한 쌀을 남쪽으로 보내기로 어려운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은 “북한과 남한이 그 만큼 신뢰를 쌓았다는 표시 아니겠냐”며 그는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경기도가 지난해 북한에 쌀 시범농장을 만든 곳은 평양시 용성구역 인근 3ha이다. 경기도가 볍씨와 기술, 농자재를 공급했고 북한 쪽에서 노동력을 제공했다. 그 결과는 남북한 모두에게 ‘대성공’이었다. 300평당 북한에서의 쌀 생산량은 270∼290㎏인 반면, 벼 시범농장의 수확량은 2배인 494㎏을 넘을 정도로 시범농장의 소출은 양쪽 모두에게 대만족이었다고 한다. 경기도 지원 평양 벼농사 시범농장산 1톤 받아소출량 북 평균의 2배 성공 경작면적 늘리기로 이런 성공은 저절로 이뤄진 게 아니다. 사전에 치밀하게 농사 준비를 하고, 꾸준하게 북쪽과 신뢰를 쌓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는 “북한에 쌀을 보내는 것보다 쌀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북한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게 적중했다”고 말했다. 또 “시범농장 조성에 대비해 미리 휴전선 근처에서 10여 종류의 남한 볍씨를 파종한 뒤 북한 기후에 맞는 오대벼 등 2종을 선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기획관은 쌀을 생산하고 그 쌀이 남쪽에 온 것에 대해 “남·북한이 서로 ‘윈-윈’해낸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다. 내년에는 시범농장 규모를 100ha로 늘리기로 북한쪽과 잠정 합의를 끌어낸 그는 북한을 드나들면서 “남북한 공존과 화해 협력은 서로가 공존번영하는 것을 확인하는 신뢰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깨달은 게 보람”이라고 말했다.
수원/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경기도 제공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