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명되자마자 도덕성시비에 휩싸인 이기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이 지난 7일 오후 서울 정부중앙청사 브리핑실에서 가진 사퇴회견 도중 입을 다물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
남아시아 지진.해일피해국 중 하나인 스리랑카를 방문중인 이해찬 총리는 8일 이기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사표 처리문제와 관련, "내일(9일) 노무현 대통령에게 귀국보고를 드리면서 같이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낮 콜롬보 시내 한 호텔에서 가진 내,외신 기자간담회에서 "어제 오후 늦게 이 부총리가 사표를 제출했다는 얘기를 보고 받았으나 아직 한국과 구체적인 통화를 하거나 교신한 적은 없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이어 지진.해일피해국 구호와 복구지원 문제와 관련, "한국정부는 민간부문 모금 500만달러와 국가예산 4천500만달러 등 최소 5천만-6천만 달러를 지원하는데 (이중) 스리랑카에는 1천500만 달러를 우선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또 "고용허가제와 관련해 한-스리랑카간 MOU(양해각서)가 체결돼 스리랑카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일할 수 있게 될 것 같다"면서 "피해를 본 가족 구성원이 한국에 취업을 희망할 경우 우선 취업시키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건설과 어선 건조, 의료진 파견, 인도양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기술 지원 등 각종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총리는 같은 호텔에서 현지 교민들과 조찬간담회를 갖고 이들의 노고를 위로했다.
한편 이 총리는 남아시아 지진.해일피해 지원과 관련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나흘간의 인도네시아와 스리랑카 순방 일정을 마치고 이날 밤 귀국한다.
(콜롬보<스리랑카>/연합뉴스)
![]() | ||||
![]() | 이총리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스리랑카를 방문중인 이해찬총리는 8일 낮 콜롬보 시내 한 호텔에서 내,외신 기자간담회를 갖고 남아시아 지진, 해일피해 복구와 재건을 위한 한국의 지원계획을 밝혔다. 다음은 문답 요지. △모두발언 = 피해국가와 국민에게 한국 국민과 정부를 대신해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한국 국민도 슬픔과 고통을 스리랑카 국민과 함께 나누고 있다. 하루빨리 주민들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한국의 지원은 국가예산과 국민의 자발적 모금 두가지다. 우리 정부는 5천만 달러를 지원하는데 스리랑카에 1천500만 달러를 우선 지원하겠다. 이 가운데 1천370만달러는 올해부터 3년에 걸쳐 복구작업으로 지원하겠다. 전자정부를 만드는 프로젝트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 1천5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침을 곧 결정하겠다. 또 재건복구 사업중 장기 저리로 EDCF 차관 2천-3천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협의하겠다. 피해지역의 항구적 복구를 위해 건설 전문가를 파견해 기술 지원을 할 예정이다. 어선이 80% 가까이 파괴됐으므로 어선에 대한 지원도 장기적으로 중요하다. 이번에 조기경보시스템이 없어 피해가 예상보다 컸다. 한국이 가진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휴대폰 또는 TV를 통해 조기경보하는 기술을 지원, 인도양에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지원할 생각이다.
△ 스리랑카 정부와 반군인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간 평화협상을 어떻게 생각하며 반군지역에 대한 정부 지원은 어떻게 되나. 총을 놓고 삽을 드는 평화적 협상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인도적 차원의 지원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LTTE 활동이 있는 지역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의료진 20명을 파견해 지원하고 있다. 현지 바쿠나 기능대학 개선사업에도 230만 달러를 투입하고 있다.
△ 한국 정부는 더 많은 스리랑카인을 고용할 의향이 있나. 고용허가제와 관련해 한-스리랑카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스리랑카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일할 수 있게 될 것 같다. 피해를 본 가족 구성원이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할 경우 우선 취업 시키는 것을 검토하겠다. 현재 스리랑카에는 고용허가제로 취업할 수 있는 인원이 6천명 배정됐는데 현재 500명이 취업중이어서 앞으로 5000명이상 더 취업할 수 있다.
△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스리랑카와 관련해 어떤 조치가 취해졌나. 각 국별로 구체적으로 특별한 조치를 한 것은 없다. 유엔 사무총장이 특별대표를 지정해 각국이 유엔을 통해 제공하는 예산을 관리하도록 정했다. 유엔이 전반적으로 지원 프로그램이 투명하게 잘 집행되도록 관리하는 수준까지 합의했다. 구체적 국가별 지원계획은 앞으로 후속 대책을 통해 만들어질 것이다.(콜롬보<스리랑카>/연합뉴스) | ![]() | ||
![]() |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