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가 되기 위해서는 도덕적인 기준이 더욱 중요해진 점을 강조한 것인지, 아니면 흠결이 전혀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는 뜻으로 한 얘기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곤혹스러워하는 것은 틀림없다.
이 총리가 이날 낮 노무현 대통령과의 청와대 오찬에서 밝혔듯이, 이기준 전 부총리를 추천한 ‘당사자’는 이 총리였다고 한다. 이 총리는 교육부 장관 시절 서울대 총장이던 이 전 부총리가 학교 안팎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수평가제 등 여러가지 ‘개혁 작업’을 밀어붙이는 것을 보고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리의 한 측근은 “대학 개혁에는 이 전 부총리가 적임자라고 판단한데다, 그가 다시 학교로 돌아가지 않을 사람이고, 이공계 출신이라는 점을 추천할 때 고려했다”며 “사외이사 문제나 아들의 이중국적 문제 등은 이미 걸러졌던 만큼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고, 장남의 재산 문제 등 새로 불거진 문제는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역대 총리 가운데 사실상 처음으로 각료 제청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한 이 총리로서는 이번 사태로 체면이 깎이게 됐다. 그러나 별도의 유감 표명 등은 하지 않을 것 같다. 이 총리의 다른 측근은 “검증을 하는 쪽에서 좀더 철저하게 문제를 살펴봐야 했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김종철 기자 phillkim@hani.co.kr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