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통령께서 인사의 경위를 소상히 설명하면서 인책의 범위와 한계를 솔직하게 밝혔다"면서 "대통령께서 사과를 하고 관계자들의 책임도 물은 만큼 이제는 심기일전해서 국정에 매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배숙 제6 정조위원장은 "줄줄이 사표를 내는 것도 모양새가 우습다"며 "이 정도 선에서 마무리해야 한다"고 밝혔고, 우원식 의원은 "더 이상이번 사태를 정쟁 차원에서 문제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정무비서관 출신인 문학진 의원은 "대통령께서 비서실장은 직접책임을 물을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하신 것 같다"며 "인사권자의 뜻인 만큼 빨리 사태를 수습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은 "가장 검증을 철저하게 해야 할 자리가 민정.인사 수석인만큼 이번 조치는 상징성도 있고 잘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이기준 전 교육부총리의 `40년 지기'로 도덕성 시비에 휘말린 김우식 비서실장의 사표가 반려된 것과 관련, 김 실장에 대한 사퇴요구가 이 전 부총리를 직접 추천한 이해찬 총리의 `동반책임론'으로 번지는 상황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역력했다.
이같은 우려는 당이 비상체제로 운영되는 불안정한 상황에서 인사파문의 후유증이 계속될 경우, 민생안정 등 올해 국정운영 목표가 연초부터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김현미 대변인은 이와 관련, "실제 업무와 관계없이 책임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만이 적절한 조치는 아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운용의 묘를살려 제도의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기홍 의원은 "자꾸 문제를 확산시키다 보면 한도 끝도 없다"며 "빨리좋은 분들을 기용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청와대 비서진 사퇴는 적당한 수준을 넘어 폭넓게 책임을 진 것"이라며 "제청권을 가진 총리가 추천한 것 자체는 잘못이 아니므로 총리까지 사퇴하라는요구는 국정을 흔들려는 의도"라며 한나라당의 총리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다만 국회교육위 소속인 구논회 의원은 "대통령께서 고뇌한 끝에 내린결정이므로 뭐라고 평가하긴 그렇지만 국민들이 잘 납득할 수 있는 수순으로 사태가매듭되어지는 건지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