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여옥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제는 실무진이 아니라 (청와대) 인사시스템을 돌아가게 하는 근본적인 운영 원칙"이라면서 "원칙의 중심에 서있는 비서실장과 비서실의 총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 대변인은 "`돈을 빌려줄 때 보증을 선 사람도 책임을 지듯이' 이해찬총리와 김 비서실장도 이번 사태의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면서 "책임질 사람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칙에서 벗어나면 안된다"고 `연대보증론'을 주장했다.
김형오 사무총장은 "국민적 물의를 일으키고 충격과 실망을 준데 비해실무 담당자 두 사람에 대해 인사조치를 한 것은 미흡하다"면서 "중요한 것은 사람을 일부 바꾸는 것이 아니라 (노 대통령이 제안한 것처럼) 국회 인사청문 절차와 같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선 최고위원도 "누군가 책임은 져야 하는데 노 대통령이 아끼는 사람은 끌어안고 몇사람 희생양만 만들고 지나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은 총체적인 청와대 인적쇄신 및 인사시스템 개편요구와 함께 이 총리책임론도 계속해서 제기했다.
이한구 정책위의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검증과정에서 (이총리가) 어느 정도 역할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만약 (검증과정에서) 문제가 밝혀졌는데도 `뭐 그 정도로 그러느냐'는 식으로 했다면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