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1.01 15:30 수정 : 2019.01.01 19:08

현재 지구에서 1억3천만km 떨어진 곳에 있는 소행성 베누. 나사 제공

31일부터 고도 1.6km 상공서 선회중
가장 작은 천체 궤도비행 기록 세워
2020년 표본 수집 2023년 지구 귀환

현재 지구에서 1억3천만km 떨어진 곳에 있는 소행성 베누. 나사 제공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세밑 31일(현지시간) 소행성 ‘베누' 상공에서 궤도비행을 시작했다.

나사는 오시리스렉스가 이날 오후 2시43분(한국시간 1일 새벽 4시43분) 탐사선의 엔진을 7초간 연소시켜 1.6km 상공에서 비행궤도를 잡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우주탐사선이 궤도비행을 한 행성 중 가장 작은 것이다. 베누는 폭이 500m에 불과한 아주 작은 천체다. 이전 기록은 지난 6월 일본의 하야부사2가 궤도비행을 시작한 소행성 류구다. 류구는 폭이 900m에 이른다.

현재 지구에서 1억3천만㎞ 떨어진 곳에서 태양 궤도를 돌고 있는 베누는 다이아몬드형 암석 소행성으로 4.3시간에 한 번씩 자전한다. 2016년 9월8일 발사된 오시리스렉스는 2년간 우주 공간을 날아간 끝에 지난 12월3일 베누 19㎞ 상공에 도착해, 궤도비행을 준비해 왔다.

소행성 베누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나사 제공
오시리스렉스는 앞으로 1년 반 동안 이 소행성 하늘을 돌며 정밀 탐사한다. 2020년엔 로봇팔로 베누 지표면에서 먼지, 자갈 등의 표본을 최대 2kg 채취해 2023년 9월 미국 유타사막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이 표본은 태양계 형성 과정의 비밀과 소행성이 지구 생명의 탄생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들을 담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자들은 또 만약에 있을지도 모를 소행성 충돌에 대비할 수 있는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물론 베누가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낮다. 과학자들은 2135년에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2700분의 1이라고 말한다. 하야부사2는 오시리스렉스보다 앞선 2020년 12월 류구 소행성의 샘플을 갖고 돌아올 예정이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곽노필의 미래창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