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4.29 12:00 수정 : 2019.04.29 13:36

국내 연구진이 스페인 독감의 발병 원리를 밝혀냈다. 스페인 독감은 1918년 유행해 전세계에서 5천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치명적 질병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 바이러스 독성 인자 규명
특정단백질 돌연변이가 면역체계 무력화
“최근 유사 변이·중증 감염 주목해야”

국내 연구진이 스페인 독감의 발병 원리를 밝혀냈다. 스페인 독감은 1918년 유행해 전세계에서 5천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치명적 질병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20세기 최악의 세계 대유행(팬데믹)을 일으킨 스페인 독감의 발병 원리를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은 29일 “연세대 성백린 교수, 건국대 김균환·박은숙 교수, 경희대 김광표 교수 등 국내 공동연구팀이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에서 독성을 일으키는 핵심 인자를 찾아내고 어떤 원리로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지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국제학술지 <엠보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스페인 독감은 1세기 전인 1918년 발병해 전세계 사망자만 최고 5천만명 이상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그해 8월 처음 발생해 1차 세계대전 뒤 귀환 병사들을 통해 세계에 전파되기 시작해 2년 동안 창궐했다. 우리나라에서도 14만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2005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 A형 중 h4N1형인 것으로 밝혀진 이래 과학계는 강력한 독성을 일으키는 원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왔다.

국내 연구팀이 1918년 스페인 독감의 PB1-F2 단백질이 인터페론 생성에 중요한 숙주 단백질인 DDX3와 결합해 분해시킴으로써 항바이러스 반응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독성이 높아짐을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피비1-에프2’(PB1-F2)라는 단백질의 돌연변이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세포 실험과 생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PB1-F2 단백질이 항바이러스 구실을 하는 인터페론(IFN) 베타를 제거되도록 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숙주세포의 면역체계를 무력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나 특정 박테리아에 감염됐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체계에서 유도되는 물질이다. PB1-F2의 68번째와 69번째 아미노산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인터페론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필수 단백질인 ‘디디엑스3’(DDX3)를 분해시켜 인터페론 베타가 생기는 것을 막아 숙주가 발병하고 결국 사망하도록 만든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PB1-F2가 DDX3와 강력하게 결합한 뒤 이를 세포 안 단백질 분해 장소로 유인해 함께 빠르게 분해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던 스페인 독감의 병인 기전을 새롭게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성백린 교수는 “최근 들어 스페인 독감과 유사한 유전적 변이와 중증 감염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