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피 한방울로 예상분만일 알아낸다
혈색 속 아르엔에이(RNA)를 분석해 분만일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생명공학 및 응용물리학과 연구팀은 8일(한국시각) “임신부의 혈액 속에 있는 셀-프리 아...
2018-06-08 14:38
연구용 인간 프리온, 실험실에서 인공합성
“인체 내에는 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PrP)이 있는데 이것이 비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PrPSc)로 변형되어 세포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척되면 중추 신경계의 변성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
2018-06-07 17:22
‘꼬마RNA’ 염기서열 하나까지 구분해 암 조기 발견
국내 연구팀이 세포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아르엔에이(miRNA)를 정밀하게 검출해낼 수 있는 저비용의 고감도 센서를 개발했다. 염기서열 한 개까지 구별해낼 수 있어 암 등 질병 조기 발견에 ...
2018-06-07 10:57
알츠하이머병은 인간 뇌발달 진화의 대가일까
알츠하이머병 같은 노화 질환은 ‘신피질 팽창’을 일으키며 놀랍게 진화한 인간 뇌가 겪는 대가일 수 있다? 인간과 영장류의 유전체(게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그럴 가능성’을 제...
2018-06-04 17:58
흡혈 모기는 아파트에 사는 중산층을 좋아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지난 100년 동안 상어에게 목숨을 잃은 사람이 1035명인데 모기에 의한 사망자 수는 하루에 1470명이다”라는 글을 올렸다. 게이츠...
2018-06-04 06:01
숙주-기생균, 공동의 적 앞에서 ‘상리공생’ 공진화
훨씬 해로운 기생 미생물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 덜 해로운 기생 미생물과 서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공생하는 숙주. 숙주와 기생자의 이런 관계는 흔히 ‘방어적 상리공생(defensive mutualism)...
2018-05-30 16:52
눈밭에 복수초 피우려 유전자는 밤새 일했다
국내 연구진이 추위에 노출된 식물이 염색체 구조를 변화시켜 저온 스트레스에 견디는 과정을 밝혀냈다. 건국대 의생명공학과의 윤대진 교수 연구팀은 30일 “식물이 노출되면 이를 인지하...
2018-05-30 12:00
70년 전 예견된 ‘홀스타인 폴라론’ 입자 발견
고체 안에 원자에서 떨어져 나온 전자가 있으면 주변의 원자가 전자의 힘 때문에 위치를 바꿔 원자 배열에 변형이 생기는데, 이런 성질을 보이는 준입자(유사입자)를 ‘폴라론’이라 한다. 무...
2018-05-29 16:11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