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11.23 12:00
수정 : 2017.11.23 12:00
|
환경부 제공
|
관련부처·지자체 등 합동 다음달부터 1단계 연구 추진키로
문재인 대통령 하굿둑 개방 공약·국정과제 이행 첫단계 의미
|
환경부 제공
|
정부가 낙동강과 바다를 갈라 놓은 하굿둑 수문을 열어 낙동강 하구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여정의 첫 발을 내딛는다. 낙동강 하굿둑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를 사이에 두고 2개로 나뉘어 있는 총연장 853m(을숙도 하류 방향으로 좌안 510m 우안 343m) 길이의 방조제로 용수 확보, 염해 방지 등의 효과와 철새 도래지 파괴, 기수역 생태계 교란 등 환경 훼손을 둘러싼 논란의 대상이 돼 왔다.
환경부는 23일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을 통한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중앙부처와 부산시, 수자원공사 등이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환경부는 이 연구를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공약과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첫 단계라고 설명했다.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는 두 단계로 나뉘어 이뤄질 예정이다. 다음달 연구용역 업체를 선정해 내년 9월까지 진행할 1단계 연구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해수가 유통될 경우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하굿둑의 부분개방 실험 시나리오와 3차원 수치모형을 구축한 뒤 시나리오별로 영향을 분석하게 된다. 바닷물이 하굿둑 수문을 통해 들어올 경우 하굿둑 구조물의 안전에 끼칠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지하수의 염분 침투가 인근 농작물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과 검증 방안도 이번 연구를 통해서 마련된다.
1단계 연구를 바탕으로 한 2단계 연구는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제시를 최종 목표로 내년 하반기 중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실무협의회’ 협의를 거쳐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 7월 환경부·국토부·해수부·농식품부 등 중앙부처와 부산시·울산시·경남도 등 지자체,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 12개 기관으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관련 논의를 진행해 왔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정부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해수 유통을 통한 낙동강 하구의 기수역 조성 및 생태복원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