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12.25 12:21 수정 : 2017.12.25 14:32

자료:대기질통합예보센터

환경부, 23~24일 고농도 주요인 대기정체·역전층·높은 습도 꼽아
“지역적 차이 커 장거리 이동보다 국내 영향이 좀더 지배적인듯”

자료:대기질통합예보센터
23일과 24일 항공편 결항과 지연 사태까지 빚었던 고농도 미세먼지는 이제까지 발생했던 많은 고농도 미세먼지와 달리 중국발 오염물질 유입보다는 대기 정체 등 국내 기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환경부 대기질통합예보센터는 25일 발표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사례 원인분석’을 통해,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를 △지역별 대기정체(풍속 저하)에 따른 미세먼지 축적 △대기역전에 의한 미세먼지 축적 및 2차 생성 △높은 습도에 의한 미세먼지 2차 생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요약했다. 중국발 오염물질 유입도 국내외 요인’의 일부로 넣었으나 기상 요인에 비해 덜 부각시켰다.

통합예보센터는 이 기간 중부지역과 일부 남부 내륙지역에서 풍속(남풍계열)이 낮은 대기정체 현상 발생했고, 일부 남부내륙지역(광주·대구·경북내륙)은 분지 지형의 영향으로 대기정체가 가중됐다고 밝혔다. 또 남해상 고기압 영향으로 따뜻한 남풍계열 바람이 불어 들어와 밤 사이 냉각된 지면 상공에서 대기역전층이 형성된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대기역전층이 형성되면 상하 방향 대기 혼합이 어려워져 대기오염물질이 지면 가까이 축적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2차 생성도 활발해진다.

통합예보센터는 이번에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것에는 지면에 가까운 고도로 불어 들어온 남풍계열 바람의 영향을 받아 다소 높은 습도가 유지된 것도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서울은 이번 고농도 사례기간 중 23일 오후 12시~18시를 제외하고는 줄곧 상대습도가 75% 이상을 유지했다. 이처럼 높은 습도가 젖은 눈덩이를 굴리면 쉽게 커지는 것처럼 대기 중 미세먼지가 더 큰 미세먼지로 성장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다는 것이 예보센터의 설명이다.

물론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 기간에도 과거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때와 마찬가지로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은 있었다. 예보센터는 23일은 중국 북부지역, 24일은 중국 남부지역 등에서 수도권으로 기류가 유입돼 국내 배출 배출 미세먼지와 더불어 대기정체 상태에서 축적됐다고 밝혔으나, 이 부분은 국내 기상 요인에 비해 강조하지 않았다.

이재범 대기질통합예보센터 연구관은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와 과거의 고농도 사례의 차이점을 들자면 습도가 상당히 높았다는 점과 대기 정체가 일어났을 때 지역적으로 강약의 차이가 컸다는 점이 다르다”며 “좀더 분석을 해봐야 되는 문제지만, 장거리에서 온 것의 기여가 컸다면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해야 하는데 지역적으로 차이가 컸다는 점에서 국내 발생한 대기 정체에 의한 효과가 좀더 지배적이지 않을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