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서울사무소와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와 진실’ 간담회에서 그린피스 독일사무소의 숀 버니 수석 원자력전문가가 발언하고 있다. 그린피스 제공
그린피스 원자력전문가 “2015~2016년에도 사고 전보다 2배 증가”
“한국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국제사회에 제기해야” 조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와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와 진실’ 간담회에서 그린피스 독일사무소의 숀 버니 수석 원자력전문가가 발언하고 있다. 그린피스 제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t을 태평양에 방류하면 1년 안에 한국 동해에 유입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이 오염수 방류 계획을 중단하라고 아베 내각을 상대로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그린피스 독일사무소의 수석 원자력전문가인 숀 버니는 14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와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와 진실’ 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숀 버니는 지난 1월 ‘후쿠시마 오염수 위기’란 제목의 그린피스 보고서를 발간했다.
일본 도쿄전력은 2011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전에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만t가량을 저장탱크에 담아 쌓아두고 있다. 3개 원자로 안으로 유입된 지하수 때문에 매주 1497t씩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가 새로 생긴다. 더 심각한 것은 원자로 내 방사성 오염수인데, 처리 과정을 거쳐 탱크에 저장된 오염수보다 방사능 수치가 1억배가량 높다. 지난 7월 기준 1만8천t가량이 있다. 도쿄전력은 2021년까지 원자로 내 오염수를 6천t으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버니 수석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후쿠시마의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t을 태평양에 방류하면 동해의 방사성 물질도 증가한다는 일본 3개 대학(가나자와·후쿠시마·히로사키 대학) 연구진의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방사성 물질인 세슘137이 포함된 오염수를 일본 주변 해류가 동중국해로 옮기면 다시 구로시오 해류와 쓰시마 난류를 타고 동해로 유입된다는 것이다. 그는 “동해까지 오는 기간은 약 1년이며, 이마저도 아열대 환류 탓에 빨라지고 있다는 해양학자의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류된 방사성 물질의 이동 경로. 일본열도 남쪽 ‘아열대 수괴(STMW·해수 덩어리)’로 흘러들어간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은 동중국해를 거쳐 구로시오 해류와 쓰시마 난류를 타고 동해로 유입된다. 그린피스 제공
연구진의 조사 결과를 보면,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세슘을 함유한 오염수가 태평양에 방류됐을 때 동해가 오염된 바 있다. 동해의 오염도는 2012~2016년 증가했으며, 2015년에 최고조에 달했다. 2015~2016년엔 세슘137이 ㎥당 3.4베크렐(Bq·방사능 측정 단위)로 나타나 사고 전 1.5베크렐보다 2배 넘게 증가했다. 세슘과 함께 유독성 발암물질인 삼중수소도 동해로 유입됐다.
버니 수석은 “방사성 물질을 방출하려면 (방사능 안전 국제규범에 따라) 다른 대안이 없음을 입증해야 한다. 후쿠시마 오염수는 장기저장이란 대안이 있으므로 태평양으로 방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장 가까운 한국의 구실을 강조했다. 그는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에 따라 한국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 위기가 자국 환경에 미칠 영향에 관한 설명과 정보를 요구할 권리를 보유한다”며 “다음달 열릴 국제해사기구의 런던협약·의정서 합동당사국 총회에서 한국 정부가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쿄전력은 2020년 8월 도쿄올림픽 이전에 조만간 보관 한계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처리 방안을 결정할 전망이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13일 “향후 필요하면 태평양 연안 국가들과 협력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에 적극 대응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 라이브 | 내기소(박기용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