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장 직원 채용 과정에서 노조 간부가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21일 광주 서구 내방동 기아자동차 공장은 취재진의 출입이 통제된채 하루 종일 적막한 기운이 감돌고 있다. 연합
|
최근 몇년전부터 사례비 1천만원 넘어서 기아차 광주공장의 채용비리가 수십년 전부터 내려오는 관행이었다는 주장이 광주공장 주변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22일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11년째 일한다는 한 생산직 근로자는 "생산직 직원채용에 노조나 현장근무조의 입김이 작용하는 것은 내가 입사할 때도 있었던 얘기로 새로울 것도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당시에는 대부분 노조나 현장근무조, 또는 회사 직원과 가까운 사람의 소개로 들어왔으며 입사가 결정되면 사례비와 식사대접이나 용돈의 명목으로 대부분 100만원 안팎을 넣어 글자 그대로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이것이 몇 년 전부터 액수가 1천만원을 넘어섰고 돈을 주고 받는 시기도 채용 전으로 바뀌었다"고 전했다. 기아차의 다른 관계자도 사례비의 존재가 오래전부터 있었음을 인정하면서 돈의 성격과 액수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바뀌었다고 시인했다. 광주공장 총무팀 한 직원은 "과거에는 사례비 성격이 강했으나 회사규모가 커지고 급여나 사원복지도 좋아지면서 몇 년 전부터 돈의 성격과 액수가 '채용 대가'로 변질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공장의 이 같은 관행을 광주공장 특유의 '역사'로 돌리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과거 '아시아 자동차'로 70년대 후반 기아에 인수된 광주공장은 지역여론을 의식해 회사이름을 바꾸지 않은 채 '아시아'로 지내며 기아내에서 자리를 잡았다. 아시아차가 기아 계열사이긴 했지만 버스, 트럭, 군용차량만을 생산했던 특성과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수도권 소하리나 화성공장과의 인사교류도 거의 없어 공장운영도 독립적으로 이뤄졌다. 광주공장은 이 때문에 인력채용도 기아그룹이나 외부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공장 내부에서 결정해 처리했다. 특히 이번에 문제가 된 생산계약직은 공채보다는 인력수요가 발생할 때면 사내인맥을 통해 채용하거나 내부 게시판만을 이용해 선발하는 방식을 고수했다. 기아차의 이 같은 채용방식은 지난해 초까지 계속돼 공장 외부에서는 언제, 얼마만큼의 인력수요가 있는지조차 알기 힘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생산라인이 확대돼 인력수요가 갑자기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인맥을 통해서만 은밀하게 오갔던 채용 대가로 주고받던 금품의 '내부조달' 관행이 바뀌었다. 광주공장 관계자는 "인력채용을 회사 내부에서만 하기에는 공급이 따라주지 못하자 결국 작년 10월, 80명을 공채한다고 발표했는데 무려 5천명이나 몰리면서 과거채용관행이 회사 바깥에 드러나 검찰수사까지 불러오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