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6.25 21:20 수정 : 2019.06.25 21:23

교통사고로 허리를 못피게 된 임아무개(83) 할머니가 의자에 올라가 싱크대를 사용했던 모습(오른쪽)이다. 성북구청이 지원한 주거개선사업으로 임 할머니는 낮아진 싱크대를 보다 안전하게 쓸수 있게 됐다(왼쪽). 성북구청 제공.

서울 성북구, 노인 주거지 안전하게 고치는
‘고령친화 맞춤형 주거관리 서비스’ 시행

해마다 200가구 주택개선사업 목표
노인 86.3%…요양원 아닌 집에서 살고 싶어

교통사고로 허리를 못피게 된 임아무개(83) 할머니가 의자에 올라가 싱크대를 사용했던 모습(오른쪽)이다. 성북구청이 지원한 주거개선사업으로 임 할머니는 낮아진 싱크대를 보다 안전하게 쓸수 있게 됐다(왼쪽). 성북구청 제공.
서울 성북구에 사는 임아무개(83) 할머니는 교통사고로 척추와 골반, 다리를 다쳐 허리를 펼 수 없는 장애가 생겼다. 허리가 굽어 싱크대에서 일을 할 때면 의자 위에 올라서야 했다. 의자를 딛고 싱크대 수납장에서 물건을 내리다가 떨어져 갈비뼈가 부러지는 사고도 겪었다. 나이가 들수록 몸은 더욱 불편해졌고, 집은 위험해졌다. 할머니는 집안에서도 벽을 짚고 움직였다.

할머니의 집에 변화가 생긴 것은 성북구청이 나서면서다. 구청이 복지사업을 벌이던 중 할머니의 사정을 접하고 주거복지 지원사업을 벌였기 때문이다. 사업에는 지역청년들이 참여했다. 일자리가 없던 청년들은 구청의 권유로 힘을 보탠 것이다. 청년들은 지난달 21일 할머니를 찾아가 불편한 점이 무엇인지를 듣고 집안의 위험요소를 하나씩 고쳐나갔다. 의자에 올라가야만 손이 닿았던 싱크대 높이를 낮추고, 안방과 거실, 화장실에는 할머니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를 달았다. 미끄러워 넘어지기 쉬운 비닐장판이나 화장실 타일은 보다 안전한 소재로 바꿨다. 집 안 곳곳의 문턱도 없앴다.

성북구는 몸이 불편해지면서 집에서 생활하면서 위험에 노출된 노인을 돕는 ‘고령친화 맞춤형 주거관리 서비스’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노인들이 자신이 사는 집에서 남은 생을 안전하게 보낼 수 있도록 집을 고쳐주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다. 성북구 관계자는 “어르신들은 집에서 넘어지고 미끄러지며 사고를 겪는다. 주택을 보다 안전하게 바꾸려 해도 도움 청할 곳이 없다. 집수리 사업체는 전면 수리를 선호하다 보니 어르신들의 금전적 부담이 크다”며 “이번 사업은 어르신들 신체구조에 맞게 위험요소를 제거한 ‘맞춤형 주택’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할머니가 화장실에 설치한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이다. 성북구청 제공.
대부분의 노인들이 요양원 보다는 자신의 집에서 남은 삶을 보내고 싶어한다는 점도 성북구가 이 사업을 벌인 또하나의 이유다. 서울시가 지난해 65살 이상 서울시민 30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1월 발표한 ‘2018년 노인실태조사’를 보면, ‘건강이 유지된다면 어디에서 거주할 생각인가’라는 물음에 답한 1874명 가운데 86.3%가 ‘현재 사는 집에서 살고 싶다’고 답했다. 요양원과 같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가고 싶다고 답한 이들은 6.4%에 불과했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경로당에서 만난 어르신들은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요양원에서 생애를 마감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었다. 요양원에 가면 가족과 영원히 이별한다는 말도 들었다”며 “어르신들은 정든 집에서 남은 삶을 보내고 싶어한다. 그들은 오래된 집을 고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북구는 저소득 고령 가구 37곳을 뽑아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사업에 참여한 지역청년 16명은 함께 참여한 연세대 주거환경학 교수가 짠 교육(기초이론 140시간, 현장실습 160시간)을 받고 현장에 투입됐다. 이들은 성북구 생활임금인 월 211만3천원을 받으며 노인이 사는 주택을 안전하게 고치는 ‘사회적기업’을 준비 중이다. 노인들을 만나 소통하며 집 안의 위험요소를 파악해 △미끄럼 방지시설 설치 △문턱 없애기 △보행안전 손잡이 △생활시설 높낮이 조절 등의 맞춤형 시공을 한다. 성북구는 해마다 200가구를 목표로 지역 청년들과 함께 노인 주택개선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