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6.23 23:04
수정 : 2019.06.23 23:04
|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에서 류선정 한국·핀란드 교육 연구센터 소장이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
|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에서 류선정 한국·핀란드 교육 연구센터 소장이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
일본은 지난 2015년 최저 투표 연령을 20살에서 18살로 낮췄다. 또 1969년부터 문부과학성이 시행해왔던 고등학생들의 정치 활동에 대한 금지령도 해제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일본 여러 학교에서는 정기적으로 ‘3자 협의회’를 개최해 학생, 학부모, 교사가 공통의 문제를 논의한다. 22일 서울시립대 100주년기념관에서 진행된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의 발제자로 나선 카츠노 마사키 도쿄대 교수는 일본의 학교 자치 기구로서 ‘3자 협의회’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나가노 현 다쓰노시 고등학교의 3자 협의회를 학교 자치 성공 사례로 소개했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시간제 일자리를 제한하는 학교 규칙을 개정하기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 3자 협의회가 3년 동안이나 끈질기게 활동했다. 원래 이 학교는 봄, 여름, 겨울의 긴 방학 기간 동안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런데 어느 해 3자 협의회에서, 학생들이 학기 중에도 파트 타임으로 일할 수 있도록 제한을 완화하자고 제안했다.
교사들은 이 규정을 완화할 경우 학생들의 학습과 방과 후 동아리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반대했지만, 학생들은 교실 토론과 설문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론화했다. 결국 교사와 학부모가 제안을 받아들여 3년 만에 개정했다.
3년 동안이나 이 의제를 가지고 3자 협의회가 논의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기자는 카츠노 마사키 교수에게 “학교 구성원이 바뀌고 교사나 교장들이 바뀌면 기존 의제를 논하지 않을 수 있을텐데 어떻게 이런 것이 가능하냐”고 물어더니 교수는 “학생들끼리의 관계가 공고해서 자신들이 논의한 의제를 촘촘하게 잘 전달한다”고 답했다. 3학년이 2학년에게, 2학년은 1학년에 자신들이 공론화한 의제를 잘 전달하고, 오랜 시간 같은 의제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카츠노 마사키 교수는 “다쓰노 고등학교 3자 협의회를 통한 3자 간의 민주적 관계가 높이 평가된다”며 “시민성은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실천하면서 배울 수 있고 획득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핀란드에서는 어떤 식으로 민주시민교육이 이뤄지고 있을까? 류선정 한국-핀란드교육연구센터 소장은 “핀란드는 교사들에게 전폭적으로 교실 안에서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그 토대 속에서 민주주의가 구현되고 있다”고 짚었다. 핀란드는 국가교육위원회에서 10년 마다 교육과정을 개정하는데, 이 위원회에서 폭넓게 교육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지난 2016년 핀란드가 현상 기반 학습인 프로젝트 학습(Project Based Leaning, PBL)을 적용했지만, 평가 기준이 모호하다거나 각종 시행착오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핀란드 국가교육위는 그렇다고 해서 큰 틀의 방향성을 수정하지 않는다. 다만 활발한 세미나를 조성하는 등 각 교육 주체들의 의견을 듣는 장을 마련한다. 국가교육과정 또한 한국처럼 세밀하게 국가 차원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류 소장은 “핀란드의 국가교육과정은 한국의 절반 수준”이라며 “그만큼 한국은 교사에게 자율성을 주지 않고 있고, 그런 상황에서 민주주의는 잘 구현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하려면, 무엇인가를 더 만들기보다 교육부나 각 교육청의 공문을 대폭 줄이고, 교사에게 최대한 자율성을 주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