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0 11:05 수정 : 2005.01.20 11:05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 이후 정부가 대(對) 일본교섭대책 과정에서 문서를 통해 김대중 납치사건을 언급한 대목이 드러나눈길을 끈다.

20일 공개된 관련 문서에 따르면 저격사건이 발생한 엿새 후인 1974년 8월21일한국 외무부 동북아 1과가 작성한 `대통령 저격사건과 관련한 대일조치방안(시안)'에 짧게 김대중 납치사건이 비친다.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 외교문서 3천30페이지 가운데 김대중 납치사건이 나름대로 의미있게 거론되는 것은 이 부분이 유일하다.

당시 박 정권은 저격사건이 조총련과 북한의 사주로 문세광이 저지른 것이라고결론짓고 그 핵심 배후가 김호룡 조총련 오사카 이쿠노니시지부 정치부장이라면서 그의 신병을 넘겨줄 것을 일본 측에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 측은 8.15 저격사건과 조총련간의 연관성을 포착하지 못했으며, 더욱이 김호룡의 범죄 개입혐의가 없다며 사실상 이를 거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동조 외무부 장관, 김종필 국무총리에 이어박정희 대통령까지 나서 김호룡의 신병인도를 요청하는 사태로 번진다.

이에 실무 부처인 외무부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한일간에는 범죄인 인도조약이 체결돼 있지 않아 특정인에 대한 법적, 외교적인신병 인도가 불가능할 뿐더러 김대중 납치사건의 암초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1973년 8월8일 일본에서 발생한 김대중 납치사건 직후 일본 정부는 납치사건의범인으로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의 김동운 1등 서기관 등을 지목했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김호룡에 대한 인도요구를 하려면 상호주의가 적용돼야 하는데, 그럴 경우 일본 측이 김 서기관의 신병인도를 요구하게 되면 난감한 상황에처하게 되는 것이다.

당시 박 정권은 1972년 10월 유신정권 출범 즈음에 신병치료를 위해 일본으로건너갔던 김대중씨가 일본에서 한국의 민주화를 염원하는 동포들과 함께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한민통)를 결성하자 한민통 결성식 일주일 전인 1973년 8월8일에 납치를 강행했다가 미수에 그쳤다.

외무부 동북아1과의 보고서는 당시 `긴박했고 난감했던' 상황을 가감없이 적고있다.

그러나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 상의 표현과는 달리 `사실의 전후관계가 바뀌었다'는 시각도 있다.

김대중 납치사건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일본 정부가 김동운 1등 서기관의 신병인도를 요구한데 대해 박 정권이 문세광 사건의 공동정범으로 김호용을 지목하고 맞불을 놨다는 것이다.

이와관련, 1973년 당시 주일 대사를 지냈던 이 호(李 澔)씨는 "(김대중 납치사건이 있고 두달 가량 후인) 9월초에 일본의 외무차관 호겐(法眼普作)으로부터 만나자는 연락을 받고 나갔는데, 그가 우리 외교관 명부를 꺼내 그 가운데 김동운 1등서기관을 가리키면서 `호텔 그랜드 팔레스' 현장에서 지문이 나왔으며, 그게 김 서기관의 외국인 등록카드와 일치한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일본 정부는 목격자 사진대조를 통해 김 서기관이 현장에 있었던 범인으로지목하고 같은 해 9월5일 자국 외무성을 통해 공식적으로 출두요청을 했다.

그러나 김 서기관은 이미 하네다 공항을 거쳐 서울로 귀국한 뒤였다.

사실 김동운 1등 서기관이 일본 사법당국에 소환돼 조사를 받을 경우 김대중 납치사건의 전모가 드러날 위기에 처했던 것이다.

그 후 우리 정부는 김 서기관의 범행개입에 대해 극구 부인하며, 일본 측의 끈질긴 신병인도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다.

김 서기관은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했지만 소속은 중앙정보부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1년여가 지난 1974년 8월15일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이 터지고 저격범 문세광의 공동정범으로 김호용이 지목되고 이번에는 우리 정부가 일본 측에 범인 신병인도를 요구하는 처지가 된다.

우리 정부는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보다도 1년이나 먼저 발생한 김대중 납치사건과 관련된 외교문서는 아직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