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
황우석 ‘광우병 내성소’ 실용화사업 탈락 |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광우병 내성소(牛)'가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위한 먹거리 창출사업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광우병 내성소는 정부의 차세대 먹거리 창출사업인 대형 국가연구개발(R&D)실용화 사업대상에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부 관계자는 23일 "광우병 내성소는 일종의 유전자변형식품(GMO)으로분류된다"면서 "GMO는 유럽 등 국제무대에서 검증절차가 매우 엄격하기 때문에 광우병 내성소가 해외에서 이른 시간내에 검증을 거쳐 인증을 받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우병 내성소는 국제적으로 인증을 받기가 쉽지 않아 당장 수출을 통해 소득을창출할 수 있을지 아직 장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열리는 오명 과학기술부총리 주재로 열리는 과학기술 관계장관 회의에서 논의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 검토대상에서 광우병내성소는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우리나라의 `스타 과학자'인 황 교수의 대표적 연구성과중 하나인 광우병 내성소에 대해 당장 실용화ㆍ산업화에 회의적이라고 판단한 것은 아주 이례적인일이다.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과제는 정부로부터 실용화와 산업화,수출에 이르기까지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다.
과학기술계의 한 관계자는 "황우석 교수팀의 광우병 내성소가 실제로 광우병에걸리지 않는지에 대한 검증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광우병 발생여부에대해 찬반 양론이 맞서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팀이 지난 2003년 12월 서울대 임상의학연구소에서 광우병 내성소 4마리를 생산한 이후 이에 대한 검증작업이 진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연구팀은 2004년 3월 일본에 광우병 내성소를 보내 생체실험을 할 예정이었으나 아직도 실험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과학자는 "설사 광우병 내성소가 성공적으로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해도해외에서 이를 적극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광우병 파동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은 소에 대한 철저한 검역과정을 거쳐 쇠고기를 유통하고 있고 소비자들도 여전히 쇠고기를 즐겨 먹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2월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검토대상 과제로 광우병내성소와 함께 자기부상열차, 한국형 고속열차와 위그선(물위를 나는 배), 해수담수화용 원자로(SMART), LPG 버스와 연료전지 버스, 복합 양전자 단층 촬영기, 소형 열병합 발전용 가스터빈 등 9개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