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6 18:05 수정 : 2005.01.26 18:05

과연 평화로운 방법이로다!

2004년 그나마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건 삼보일배와 단식이었다. 새만금에서 서울까지 세 걸음에 한번씩 절을 하며 올라온 문규현 신부와 수경 스님, 천성산과 생명에 대한 각성을 불러일으키려고 지금까지 90여 일 동안 단식을 한 지율스님. 소통과 교류와 합의를 위해 우리 사회는 여전히 목숨을 건 단식과 늙은 성직자들의 무릎에서 흐르는 피를 요구하는 걸까.

이런 와중에 진행된 한 ‘건장한 남자’의 ‘걷기 명상’은 세상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유엔사령부 해체를 위한 이시우의 걷기명상. 이시우는 10년 동안 민통선 곳곳을 직접 발로 누비며 내놓은 기록 <민통선 평화기행>의 저자다. 사진집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과 <끝나지 않은 전쟁, 대인지뢰>를 펴냈고 수십차례의 사진전을 열기도 한 예술가이기도 하다. 그는 10여 년 동안 민통선 사진을 찍다가 유엔사의 ‘힘’을 체험했다고 한다. 비무장지대·민통선 지역에서는 모든 게 유엔사 규칙에 의해 규제됐다. 경의선 연결 지뢰제거 작업의 남북 상호검증과 금강산 육로 관광객의 휴전선 통과에 제동을 건 것도 유엔사다. 우리의 문제가 우리 손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손에 쥐어져 있다고 할 황당한 이야기가 바로 유엔사 문제다.

다행히 그가 선택한 방식은 자신의 몸을 치명적으로 해롭게 하지도 않고 타인에게 부담을 주는 형식도 아니었다. 나는 그가 평화운동가다운 방식을 택했다고 생각했다. 그는 50여 일 동안 배낭 하나 메고 강화도를 출발해서 휴전선을 따라 동해안까지 걷고, 또 동해안을 따라 부산까지 걸은 뒤 일본까지 건너갔다 왔다. 1500㎞를 걸으면서 구호도 외치지 않았고 응급차를 동원할 만큼 무리수를 두지도 않았다. 다만 걷고 깊이 생각하고 글을 썼다. 왜 걸어야 하는지, 왜 유엔사를 해체해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묻고 또 묻고 답했다. 그러나 여름의 한가운데, 아무리 건장하다 해도 태양은 뜨겁고 지열은 몸을 달구었다. 어느 하루 그는 더위에 지쳐서 풀밭에 쓰러지다시피 누웠버렸다고 한다. 누운 채로 고개를 돌리니 들꽃 한 송이가 이쁘게, 참으로 이쁘게도 피어 있더란다. 제자리에 서서 일생을 마치지만, 벌이 날아와서 또 나비가 날아와서 자신의 분신을 가져갈 수 있도록 자신을 최대한 아름답게 만들어내고 있는 들꽃. 움직일 수는 없지만 그 상황에서 가장 아름답게 피어 벌과 나비를 부르고 그들과 함께 전세계로 날아가는 들꽃. 그 들꽃을 바라보며 그는 걷기명상의 한고비를 잘 넘길 수 있었다고 한다.

자신을 가장 아름답게 피워내는 것. 우리의 운동도 그런 방식이 되었으면 좋겠다. 어쩌면 그의 걷기 명상은 작고 미미하지만 존엄한 한 존재가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고자 하는 결연한 존재선언인지도 모른다. 평화를 원한다면 평화를 준비하라고 말하는 견고하고 치밀한 평화운동가 이시우. 홈페이지( www.siwoo.pe.kr )와 시민단체 비폭력평화물결 홈페이지( www.peacewave.net )에서 그를 만날 수 있다.

김현아/ ‘나와 우리’ 운영위원 khagong@empal.com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