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9.17 11:59 수정 : 2018.09.17 21:17

전국 수유시설 10곳 가운데 4곳에는 아빠가 출입할 수 없다는 문구가 붙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게실을 설치하되, 별도 수유공간을 분리하도록 한 정부 권고안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수유시설에서 기저귀를 교환하는 한 엄마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복지부, 전국 수유시설 3259곳 실태조사

‘아빠 출입 허용’ 가이드라인 지켜지지 않아
별도 공간·파티션으로 분리해야
1일 10명 이하 이용시설 82.3%로 나타나

전국 수유시설 10곳 가운데 4곳에는 아빠가 출입할 수 없다는 문구가 붙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게실을 설치하되, 별도 수유공간을 분리하도록 한 정부 권고안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수유시설에서 기저귀를 교환하는 한 엄마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전국 수유시설 10곳 가운데 4곳은 아빠가 출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2015년 발표한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에 따르면, 휴게실 안에 별도로 수유실을 만들거나 공간을 분리하여 아빠나 남성 보호자가 기저귀를 갈 수 있도록 하게 되어 있는데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전국 보건소를 통해 실시한 전국 수유시설 3259곳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수유시설 가운데 아빠도 이용가능한 시설은 63.1%(2057곳)이었으며, 36.9%(1202곳)에는 아빠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에는 수유나 기저귀 교체와 직접 관련이 없는 가족들의 출입은 제한하되 육아를 직접 담당하는 아빠들의 출입은 허용하도록 돼있다. 대신에 모유수유하는 엄마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파티션·커텐 등으로 공간을 분리하거나 별도 수유공간을 마련하도록 정부는 권고한 바 있다. 육아는 엄마만이 아니라 아빠도 함께 담당해야 한다는 취지다.

다른 권고 기준도 충족하지 못한 곳이 많았다. 기저귀 교환대가 설치되지 않은 수유시설이 10곳 중 3곳 꼴이었고, 수유쿠션은 절반가량인 51%에만 있었다.

수유시설 이용률도 높지 않았다. 하루 이용자가 10명 이하인 곳이 82.3%(2682곳)에 이르렀다. 이는 수유시설의 설치 장소가 공공기관·공공청사 등에 쏠려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수유시설이 설치된 곳 가운데 백화점·쇼핑몰 등 다중시설이 31.7%(1034곳)으로 가장 많았으나, 그 다음은 공공기관(24%·782곳), 공공청사(23.3%·759곳), 교통시설(15.3%·500곳) 순서였다.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관계자는 “공공기관 등에서는 여직원들이 출산휴가를 쓰거나 육아휴직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 수유시설 이용이 많지 않은 듯 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 수유시설 관리·운영실태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이 지켜질 수 있도록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이용자들이 수유시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수유시설 검색시스템(www.sooyusil.com)을 개설한 바 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