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5.02 14:09
수정 : 2019.05.02 22:05
|
게티이미지뱅크
|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다문화가족 자녀 차별·학교폭력 경험 비율 늘어
절반은 “학교폭력 당해도 참거나 그냥 넘어간다” 답해
10년 이상 장기거주 하는 다문화가족 60% 넘어
“한국 적응력 늘었지만 사회관계망 부족”
|
게티이미지뱅크
|
다문화가족의 자녀들이 또래 친구로부터 차별과 학교폭력을 경험한 비율이 3년 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2일 발표한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2018년 기준)를 보면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난 1년 간 차별을 경험한 비율은 9.2%로 2015년(6.9%)에 견줘 2.3%포인트 늘었다. 이들은 주로 친구(64.0%)나 고용주·직장동료(28.1%)로부터 차별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학교폭력을 경험한 자녀도 8.2%로 2015년(5.0%)에 견줘 3.2%포인트 증가했다. 학교폭력을 경험한 뒤에는 절반에 가까운 48.6%가 “참거나 그냥 넘어간다”고 답했다.
자녀들이 느끼는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자긍심이나 자아존중감은 소폭 상승했다. 자긍심 측정 점수는 평균 3.48점(5점 만점)으로 2012년(3.33점), 2015년(3.38점) 이후 계속 증가추세다. 자아존중감 점수 역시 평균 3.87점으로 2015년(3.81점)에 견줘 늘었다. 이번 조사에선 또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본격적으로 청소년층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분포를 보면 초등학교 고학년인 만 9살∼11살 비율이 45.8%로 가장 높고, 이어 만 12살∼14살(24.1%), 만 15살∼17살(16.4%), 만 18살 이상(13.8%) 순이었다.
|
여성가족부 제공
|
한국에서 10년 이상 장기 거주하는 다문화가족도 2009년 15.6%에서 지난해 60.6%로 크게 늘었다. 거주 기간이 늘면서 한국 생활 적응력은 높아졌지만 ‘도움·의논 상대가 없다’고 답한 비율도 함께 늘어나 사회관계망 부족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비율(29.9%)은 2015년에 견줘 4.2%포인트 증가했으나 ‘외로움’(24.1%)을 어려움으로 꼽는 비율도 함께 증가(5.6%포인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취미 생활을 같이 할 사람’(40.7%), ‘몸이 아플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38.5%), ‘자녀 교육 관련 사회적 관계’(33.9%) 등 사회적 관계를 묻는 항목에 “(관계가) 없다”고 답한 비율도 2015년에 견줘 모두 늘었다.
한편 다문화가족을 구성하는 결혼이민자·귀화자의 고용률은 66.4%로 2015년 조사에 견줘 2.5%포인트 늘었으며, 상용직 비율은 42.3%로 2015년(34.9%)보다 늘었으나 전체 노동자(51.4%)에 견줘선 낮은 수준이다.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배우자는 ‘한국 출신 남편’인 경우가 80.7%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가정 안의 언어사용 실태를 보면,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모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배우자의 비율은 ‘한국 출신 남편’이 10.8%에 불과해 ‘외국 출신 남편’(63.7%), ‘외국 출신 아내’(55.6%), ‘한국 출신 아내’(44.9%)에 견줘 가장 낮았다.
|
여성가족부 제공
|
이번 조사는 여가부가 전국의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 조사로 2009년, 2012년, 2015년에 이어 네번째로 실시됐다. 이번 연구의 책임을 맡은 최윤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결혼이민자·귀화자들은 이미 국적을 받았거나 국민의 가족으로 함께 살아가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결혼이민자·귀화자는 한국어, 생활문화 등 초기 적응에는 안착했지만 정착단계로 접어들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족이 진정한 우리의 이웃으로 뿌리 내리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포용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10년 이상 함께 살아온 다문화가족이 확연히 늘어나며 청소년기 자녀의 증가 등 다문화사회로의 전개 양상을 보인다”라며 “특히 자녀들이 청소년기에 접어드는 만큼 이주배경으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업과 진로, 가정과 지역사회의 성장 지원 강화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